-
목차
카페인, 유산균, 녹차…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는 건강기능식품, 과연 믿어도 될까?
다이어트를 위해 건강기능식품을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.
하지만 어떤 성분이 실제로 체중감량에 도움을 주는지, 과학적 근거는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이 글에서는 ‘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효과’를 검증한 의학 논문을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니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.
※ 이 글은 비만대사연구학술지의 논문 내용을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

건강기능식품, 다이어트에 어떤 도움이 될까?
현대인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효과적인 체중 감량입니다.
다이어트는 식이조절과 운동이 기본이지만, 보조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을 활용하려는 수요도 급증하고 있죠.
실제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5조 원 규모를 넘어서며, 이 중 상당수가 체중감량 또는 비만 보조제에 해당합니다.
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“효과가 있는가?”입니다.
과학적으로 검증된 다이어트 기전
건강기능식품이 다이어트에 효과적일 수 있는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.
기전 설명 기전 설명 식욕 억제 렙틴, 세로토닌 등 호르몬 조절로 섭취량 감소 지방 대사 촉진 미토콘드리아 활성화, 갈색지방 증가 에너지 소비 증가 운동 시 에너지 전환 효율 증가 염증 억제 대사성 염증 완화로 체중 증가 억제
카페인 - 가장 검증된 다이어트 성분
카페인은 지방 분해 촉진과 열 발생 증가에 영향을 줍니다.
- 연구 : 24주간 하루 200mg 섭취 시 체중 5~6% 감소
- 교감신경 자극 → 베타 수용체 활성화 → 체지방 분해
※ 주의 : 심혈관 질환자나 수면장애 환자는 과다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.
녹차(EGCG) - 항산화와 지방 감소의 이중 효과
녹차 속 EGCG는 대표적인 폴리페놀 항산화제로 지방 대사와 염증 조절에 탁월합니다.
- 12주간 EGCG 섭취 → BMI, 내장지방, 허리둘레 감소
- 간독성 우려 있으나, 보통 섭취량에서는 안전
※ 녹차는 카페인도 소량 함유하므로, 총 카페인 섭취량 조절 필요
유산균 - 장내 미생물로 식욕을 조절한다?
유산균은 장-뇌 축(Gut-Brain Axis)을 통해 식욕 조절 호르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연구결과 연구 결과 Lactobacillus sakei (국내 이중맹검 실험) 체지방, 허리둘레 감소 Limosilactobacillus fermentum 체중, 내장지방 유의미 감소 ※ 일부 종은 효과를 보였으나, 모든 유산균이 체중감량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.
L-카르니틴 - 지방을 연료로 바꾸는 셔틀
카르니틴은 지방산을 미토콘드리아로 이동시켜 에너지로 전환하는 데 필수적인 물질입니다.
- 경구 1000mg 12주간 복용 시 BMI 감소 유의미
- 대사 증후군, 다낭성 난소증후군 환자에게 병용효과도 보고됨
푸코잔틴 - 해조류에서 추출한 체지방 해결사?
푸코잔틴은 갈조류에 포함된 색소로, 갈색지방 활성화를 유도하여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킵니다.
- PET-CT 검사로 갈색지방 발현 확인
- 렙틴과 아디포넥틴 농도 증가로 식욕 조절 가능성 제시
단백질 보충제 - 지방은 빼고 근육은 지키자
- BCAA 보충제 → 근육량 유지 + 지방 연소량 증가
- 운동과 병행 시 체성분 개선 효과 확실
※ 단백질 섭취는 신장기능 저하자에게는 주의 필요
기타 성분 요약 정리
성분별 기전에 대한 연구결과 성분 작용 기전 연구 결과 비타민D 지방세포 내 지방산 대사 조절 체지방 감소 효과 보고됨 오메가3 지방산 염증 억제, 지방산 산화 촉진 복부지방 감소 사례 있음 트립토판 세로토닌 전구체 → 식욕 억제 GLP-1, CCK 분비 증가 L-아르기닌 NO(일산화질소) 생성으로 지방 산화 유도 허리둘레 감소 등 보고 - GLP-1 : 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, 음식을 먹은 후 포만감을 느끼게 하고 인슐린 분비를 촉진합니다. 다이어트 약물 중 하나인 세마글루타이드(위고비)도 이 GLP-1을 모방해 만든 약입니다.
- CCK : 지방이나 단백질을 먹었을 때 분비되며, 담즙 분비를 촉진하고 포만감을 유도합니다.
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효과, 믿어도 될까?
일부 성분은 효과가 있지만, 어디까지나 '보조적'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자!
- 카페인, 녹차, 유산균은 체중감량에 일정한 효과를 보였음
- 나머지 성분은 기전은 있지만 근거가 약하거나 연구 부족
- 모든 경우에 식이조절 + 운동 + 생활습관 개선이 병행돼야 의미 있는 감량 가능
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선택 시 체크리스트
- 과학적 근거가 있는 성분인지 확인
- 본인의 건강 상태(고혈압, 수면장애 등) 고려
- 식사량 및 활동량도 병행 조절
- 허위·과장 광고는 걸러내기
- 의료진 상담 후 복용 결정
참고문헌
주남석. (2022). 건강기능식품의 체중감량 효과. 비만대사연구학술지 (Archives of Obesity and Metabolism), 1(2), 59-65. https://doi.org/10.23137/AOM22.02.RA0007
'건강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“체중은 정상인데 비만?” 마른 비만 여성에게 꼭 필요한 이야기 (0) 2025.06.04 10일간의 생즙 다이어트, 건강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? (0) 2025.06.03 갑상선 기능 저하증 증상, 혹시 나도? 제대로 알고 대처하자! (0) 2025.06.02 목디스크 증상 총정리 : 통증부터 치료까지 한눈에! (0) 2025.06.01 매일 먹는 이 음식, 알고 보면 조기 사망 원인? 초가공식품(UPFs)의 충격 진실 (0) 2025.05.31